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유니티Material
- 스프링부트 블로그만들기
- 스프링부트 블로그
- 프로그래머스 괄호 회전하기 python
- 타입스크립트 기초문법
- 유니티Cube
- spring jpa 사이드프로젝트
- springboot 사이드프로젝트
- typescript 기초문법
- 타입스크립트 기본문법
- 스프링부트 게시판만들기
- 파이썬 괄호 회전하기
- spring jpa 게시판
- jpa 게시판
- JS기초
- 타입스크립트 기초
- springboot 미니프로젝트
- 스프링부트 미니프로젝트
- 스프링부트 회원가입
- springboot 게시판 프로젝트
- 괄호 회전하기 파이썬
- springboot 게시판만들기
- 유니티기초
- 스프링 게시판 만들기
- 스프링부트 update
- python 괄호 회전하기
- 파이썬 기초
- springboot 게시판
- 스프링게시판프로젝트
- 유니티
- Today
- Total
Digking's cave
프로그래머스 ) 숫자짝꿍 (Python) 본문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31128
문제 설명
두 정수 X, Y의 임의의 자리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정수 k(0 ≤ k ≤ 9)들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를 두 수의 짝꿍이라 합니다(단, 공통으로 나타나는 정수 중 서로 짝지을 수 있는 숫자만 사용합니다). X, Y의 짝꿍이 존재하지 않으면, 짝꿍은 -1입니다. X, Y의 짝꿍이 0으로만 구성되어 있다면, 짝꿍은 0입니다.
예를 들어, X = 3403이고 Y = 13203이라면, X와 Y의 짝꿍은 X와 Y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3, 0, 3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인 330입니다. 다른 예시로 X = 5525이고 Y = 1255이면 X와 Y의 짝꿍은 X와 Y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2, 5, 5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수인 552입니다(X에는 5가 3개, Y에는 5가 2개 나타나므로 남는 5 한 개는 짝 지을 수 없습니다.)
두 정수 X, Y가 주어졌을 때, X, Y의 짝꿍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3 ≤ X, Y의 길이(자릿수) ≤ 3,000,000입니다.
- X, Y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.
- X, Y의 짝꿍은 상당히 큰 정수일 수 있으므로, 문자열로 반환합니다.
입출력 예
X | Y | reuslt |
"100" | "2345" | "-1" |
"100" | "203045" | "0" |
"100" | "123450" | "10" |
"12321" | "42531" | "321" |
"5525" | "1255" | "552"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- X, Y의 짝꿍은 존재하지 않습니다. 따라서 "-1"을 return합니다.
입출력 예 #2
- X, Y의 공통된 숫자는 0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, 두 수의 짝꿍은 정수 0입니다. 따라서 "0"을 return합니다.
입출력 예 #3
- X, Y의 짝꿍은 10이므로, "10"을 return합니다.
입출력 예 #4
- X, Y의 짝꿍은 321입니다. 따라서 "321"을 return합니다.
입출력 예 #5
- 지문에 설명된 예시와 같습니다.
풀이
def solution(X, Y):
answer = []
for i in (set(X)&set(Y)) :
for j in range(min(X.count(i), Y.count(i))) :
answer.append(i)
answer.sort(reverse=True)
if len(answer) == 0:
return "-1"
if answer[0] == "0":
return "0"
answer = "".join(answer)
return answer
-
두번이상 겹치는 값을 어떻게 넣어야할지 계속 시도해보다가, 모범답안을 찾았다!
X/Y 두 list에 해당요소의 값의 수 중 최소인 수만큼만 answer에 append 한다.
참고 틀린코드)
def solution(X, Y):
answer = ''
list1 = list(X)
list2 = list(Y)
temp = []
for i in list1:
if i in list2:
list2.remove(i)
temp.append(i)
if(len(temp)==0):
return "-1"
elif(len(temp) == temp.count('0')):
return "0"
else:
temp.sort(reverse=True)
answer = "".join(temp)
return answer
채점했을 때 테스트코드 중 4개만 시간초과가 나서 실패했다.
여기서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봐야겠다.
'코딩테스트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ackerRank 해커랭크 ) Mini-Max Sum (0) | 2023.05.25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) 대소문자 바꿔서 출력하기(Java) (0) | 2023.05.16 |
프로그래머스 ) n^2 배열 자르기[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3] (Python) (0) | 2022.10.23 |
프로그래머스 ) 괄호 회전하기 [월간코드챌린지 시즌2] (Python) (0) | 2022.10.23 |
프로그래머스 ) 예상 대진표 [2017 팁스타운] (Python) (0) | 2022.10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