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유니티Material
- springboot 사이드프로젝트
- 프로그래머스 괄호 회전하기 python
- 스프링부트 미니프로젝트
- python 괄호 회전하기
- springboot 게시판 프로젝트
- 괄호 회전하기 파이썬
- 타입스크립트 기초문법
- 유니티Cube
- spring jpa 게시판
- 스프링부트 회원가입
- 스프링 게시판 만들기
- JS기초
- springboot 게시판만들기
- 스프링게시판프로젝트
- 스프링부트 게시판만들기
- 유니티
- jpa 게시판
- springboot 게시판
- 파이썬 괄호 회전하기
- 스프링부트 블로그
- 스프링부트 update
- 유니티기초
- 파이썬 기초
- typescript 기초문법
- 타입스크립트 기본문법
- spring jpa 사이드프로젝트
- springboot 미니프로젝트
- 타입스크립트 기초
- 스프링부트 블로그만들기
Archives
- Today
- Total
Digking's cave
프로그래머스 ) n^2 배열 자르기[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3] (Python) 본문
728x90
문제 설명
정수 n, left, right가 주어집니다. 다음 과정을 거쳐서 1차원 배열을 만들고자 합니다.
- n행 n열 크기의 비어있는 2차원 배열을 만듭니다.
- i = 1, 2, 3, ..., n에 대해서, 다음 과정을 반복합니다.
- 1행 1열부터 i행 i열까지의 영역 내의 모든 빈 칸을 숫자 i로 채웁니다.
- 1행, 2행, ..., n행을 잘라내어 모두 이어붙인 새로운 1차원 배열을 만듭니다.
- 새로운 1차원 배열을 arr이라 할 때, arr[left], arr[left+1], ..., arr[right]만 남기고 나머지는 지웁니다.
정수 n, left,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주어진 과정대로 만들어진 1차원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1 ≤ n ≤ 107
- 0 ≤ left ≤ right < n2
- right - left < 105
입출력 예
n | left | right | result |
3 | 2 | 5 | [3,2,2,3] |
4 | 7 | 14 | [4,3,3,3,4,4,4,4]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- 다음 애니메이션은 주어진 과정대로 1차원 배열을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wA4G/btrPjlHy5tM/BtrcP8fMGMzH9iEkNgM3l0/img.gif)
입출력 예 #2
- 다음 애니메이션은 주어진 과정대로 1차원 배열을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3U8b/btrPla6Ex6P/eb0wXeU9ABKxEf4k9MghG0/img.gif)
풀이
def solution(n, left, right):
answer = []
arr = [[0 for j in range(n)] for i in range(n)]
arr2 =[]
for i in range(0,n): #n
for r in range(0,n): #n이전까지
arr[r][i] = i+1
arr[i][r] = i+1
for i in arr:
arr2 += i
answer = arr2[left:right+1]
return answer
원래는 위처럼 풀이했는데, 테스트코드 일부만 통과하고 나머지는 시간초과에 걸렸다.
정답은 아래와 같은데,
def solution(n, left, right):
answer = []
left, right = int(left), int(right)
for i in range(left, right+1):
answer.append(max((i // n), (i % n)) + 1)
return answer
만들어진 배열을 1차원으로 바꾼 후, 이 때의 규칙을 살펴보면
각 index의 값은 max((i // n), (i % n)) + 1 이 된다는 걸 알 수 있다.
반응형
'코딩테스트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) 대소문자 바꿔서 출력하기(Java) (0) | 2023.05.16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) 숫자짝꿍 (Python) (0) | 2022.10.24 |
프로그래머스 ) 괄호 회전하기 [월간코드챌린지 시즌2] (Python) (0) | 2022.10.23 |
프로그래머스 ) 예상 대진표 [2017 팁스타운] (Python) (0) | 2022.10.17 |
프로그래머스 ) N개의 최소공배수 (Python) (0) | 2022.10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