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springboot 사이드프로젝트
- springboot 게시판
- 스프링부트 회원가입
- typescript 기초문법
- 유니티기초
- 유니티
- 타입스크립트 기초
- 스프링부트 update
- 괄호 회전하기 파이썬
- 스프링부트 미니프로젝트
- 스프링부트 블로그
- jpa 게시판
- 타입스크립트 기본문법
- 프로그래머스 괄호 회전하기 python
- python 괄호 회전하기
- 파이썬 괄호 회전하기
- springboot 게시판만들기
- 스프링부트 게시판만들기
- 유니티Cube
- JS기초
- spring jpa 게시판
- spring jpa 사이드프로젝트
- 타입스크립트 기초문법
- springboot 미니프로젝트
- springboot 게시판 프로젝트
- 파이썬 기초
- 스프링게시판프로젝트
- 스프링 게시판 만들기
- 유니티Material
- 스프링부트 블로그만들기
Archives
- Today
- Total
Digking's cave
JS 기초 ) Number , Math 본문
728x90
Number
# 10진수 → 2진수 or 16진수 로 바꾸는 방법
10진수 → 2진수 : 숫자가담긴값.toString(2)
10진수 → 16진수 : 숫자가담긴값.toString(16)
let num = 10;
num.toString(); // 문자로 변경
num.toString(2) // 2진수로 변경
let num2 = 255;
num2.toString(16) // ff -> 16진수로 변경
Math
수학과 관련된 property 와 method를 가진 내장객체
# Math.PI
원주율 출력
Math.PI; // 3.141592653589793
Math.ceil() | 올림 |
Math.floor() | 내림 |
Math.round() | 반올림 |
let num1 = 5.1;
let num2 = 5.7;
// 올림
Math.ceil(num1); // 6
Math.ceil(num2); // 6
// 내림
Math.floor(num1); // 5
Math.floor(num2); // 5
// 반올림
Math.round(num1); // 5
Math.round(num2); // 6
# toFixed()
소숫점 자릿수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
→ 숫자가담긴값.toFixed(자릿수)
자릿수=0 → 정수만 반환
자릿수=기존소수점 이상의 숫자 → 뒷자리는 0으로 채움
반환값이 문자열이기 때문에 숫자로 사용하려면 Number()를 통해 변환작업 해줘야 한다.
// 소수점 둘째자리 까지 표현 (=셋째 자리에서 반올림)
//첫번째 방법
let userRate = 30.1234;
Math.round(userRate * 100) /100
//두번째 방법
let userRate2 = 30.1234;
userRate2.toFixed(2); // "30.12"
userRate2.toFixed(0); // "30"
userRate2.toFixed(6); // "30.123400" 뒷부분은 0으로 채워줌
Number(userRate2.toFixed(2)) // 30.12
# isNaN()
NaN은 자기자신끼리 비교도 false로 나온다.
isNaN 으로만 NaN인지 아닌지 판단이 가능하다.
let x = Number('x'); // NaN
x == Nan // false
x === Nan // false
NaN == Nan // false
isNaN(x) // true
isNaN(3) // false
# parseInt()
숫자로 되어있는 부분을 읽다가 문자가 나타나면 숫자까지만 반환한다.
따라서 첫 시작이 숫자여야지 인식이 가능하다.
# parseInt(값, 자릿수)
자릿수 지정을 통해 원하는 진수로 변환도 가능하다.
let margin = '10px';
pareInt(margin); // 10
Number(margin) // NaN
let redColor = 'f3';
pareInt(redColor); // NaN
pareInt(redColor,16); // 16진수로 변환 -> 243
parseInt('11', 2) // 3
# parseFloat()
부동소수점을 반환한다.
let padding = '18.5%';
parseInt(padding); // 18
parseFloat(padding); // 18.5
# Math.random()
0~1 사이 무작위 숫자 생성
1~100 사이 임의의 숫자를 생성하고 싶다면
→ Math.floor(Math.random()*100)+1
# Math.max() / Math.min()
최대값/최솟값 구하기
Math.max(1,3,-8,4,15,4.12) //15
Math.min(1,3,-8,4,15,4.12) //-1
# Math.abs() / Math.pow(n,m) / Math.sqrt()
Math.abs() | 절대값 |
Math.pow(n,m) | 제곱 |
Math.sqrt() | 제곱근 |
Math.abs(-5) // 5
Math.pow(2,10) // 1024
Math.sqrt(16) // 4
참고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4_WLS9Lj6n4&t=1158s
반응형
'기초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 기초 ) Array(배열메소드) - splice / slice / includes / find / map / join / split (0) | 2022.08.02 |
---|---|
JS 기초) 문자열 메소드 (문자열 길이 / 문자열 특정위치 / 문자열 비교/ 문자 대소문자 / 문자 위치찾기 / 특정문자 찾기) (0) | 2022.08.02 |
JS 기초 ) 심볼 (Symbol) (0) | 2022.08.01 |
JS 기초 ) 객체 메소드(Object methods) (0) | 2022.07.11 |
JS 기초 ) 계산된 프로퍼티 (Computed property) (0) | 2022.07.11 |